google-site-verification: google79919d55e360f1cc.html 스쿠버다이빙 수신호 – 수신호(Hand Signals)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스쿠버다이빙 수신호 – 수신호(Hand Signals)

by 리옹7 2025. 3. 20.
반응형

필리핀 스쿠버다이빙 명소 보홀의 발리카삭 드론으로 촬영

스쿠버다이빙은 바다속에서  아름다운 해양 세계를 발견할 수 있는 멋진 스포츠이지만 언어로 의사소통할 수 없는 환경에서 안전 다이빙을 할 수 있는 어려운 환경이므로 수신호(손신호) 를 숙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

수신호는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, 방향을 확인하며, 긴급 상황을 전달합니다.

수신호는 다이버들이 스쿠버다이빙 수신호의 종류를 안전 가이드를 통해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상대방의 수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야 합니다.  안전한 다이빙을위해 스쿠버다이빙 수신호(Hand Signals)를 정리하고, 추가 사용 방법을 소개합니다.

1. 스쿠버다이빙에서 수신호가 중요한 이유

스쿠버다이빙은 물속에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므로 손짓으로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서로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.

1) 수신호의 ​​필요성

✅ 물속에서 언어로 소통할 수 없으므로 서로의 소통 수단으로 중요합니다.
✅ 안전 다이빙을 위해 필수 – 다이빙 중 긴급 상황 발생 시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 합니다.
✅ 수심, 공기 잔량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.

✅ 언어가 없어도 전 세계적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.
✅ 인지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고 대응 상황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.
✅ 수중환경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가능합니다.
✅ 팀워크 향상 및 다이빙 경험 강화합니다.

2) 잠수 신호 사용 시 주의할 점

✔ 수신호를 보낼때 - 급하게 않게 상대방이 인식할 수 있을 때 보낼것.
✔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며 신호를 보내는 것.
✔ 수신호를 보내기 전 상대가 볼 수 있도록 반응을 유도할 것.
✔ 팀원들과 다이빙 전 수신호를 정하고 다이빙 전 신호를 미리 연습할 것 

2. 필수 스쿠버다이빙 수신호 (초보자 필독!)

스쿠버다이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태 신호, 공기 신호, 긴급 상황 신호, 방향 신호를 정리했습니다.

1) 필수 수신호 정리

신호 의미 설명

👌 괜찮아요 (OK) 모든 것이 정상이다 엄지와 검지를 원형으로 만들고  나머지 손가락을 위로 펼친다
✊ 문제가 있습니다 (Problem) 뭔가 잘못되었다 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좌우로 손을 흔든다
👍 상승 (Up) 올라 갑니다 주먹을 쥐고 엄지를 위로 향하게 한다
👎 하강 (Down) 내려 갑니다 주먹을 쥐고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 한다
✋ 정지 (Stop) 정지 현 위치에 대기 손바닥을 정면을 보게 한다
👉 그쪽으로 이동 (Go There) 가는 방향을 가리킨다. 주먹을쥐고 검지로 가고자하는 방향을 가리킨다

2) 공기 관련 신호

공기상태를 공유하는 신호 입니다.

신호의미 설명

 

✋✊공기 부족 (Low on Air) 공기가 부족하다 주먹을 쥐고 가슴 부근을 두드린다
✋❌공기 없음 (Out of Air) 공기가 고갈되었다 손바닥을  목에다 대고 앞뒤로 손을 움직인다
✋공기 공유 (Share Air) 공기를 공유해야한다 한 손은 가슴을 가리키고 한 손은 호흡기를 가리킨다

3) 그룹 신호

신호의미설명
🫱👉 이동 (앞으로 이동) 진행 방향으로 손바닥으로 가리킨다음 주먹을 쥐고 엄지로 가고자하는 방향을 가리킨다
안전정지 안전정지 수심에 도달 했을때 한 손은 손등을 위로하고 한 손은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만나게 하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펴고 다른 손 아래에 위치하게 한다
감압 감압병 방지를 위한 기술 주먹을 쥔 상태에서, 새끼손가락만 펴거나 새끼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함게 폅니다
👥 함께 가자 (Stay Together) 버디와 함께 이동 손등은 하늘로 향하게 하고 주먹을 쥐고 검지손가락을 나란히 한다.

 

3. 스쿠버다이빙 수신호를 사용하는 제도

1) 다이빙 전 세션과 수신호를 연습하기

  • 다이빙을 하다 보면 수신호를 미리 연습해야 실제 다이빙 중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.
  • 다이빙 전 수신호를 숙지하고 있는지 테스트를 통해 한 번 더 확인합니다. 

2) 수중에서 신호를 보낼 때 주의할 점

✅ 상대방과 눈을 맞춘 후 신호를 보낸다 – 상대가 신호를 실제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✅ 상대방이 알아 볼 수 있는 상황에서 보낸다  – 급하게 신호를 보내면 못 볼수도있으니  상대방의 상태를 보면서 보냅니다.
✅ 상황에 맞는 신호를 사용하기 

3) 추가 의사소통 도구 활용

✔ 다이빙 슬레이트(수중 메모판) – 수신호 전달하기 어려운 정보를 글로 적을 수 있다.

결론 – 스쿠버다이빙 시 수신호는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한다.

스쿠버다이빙을 한다면 안전을 위해 수신호를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

  • 다이빙 전 세션들과 수신호를 연습하고 스쿠버 다이빙을 즐긴다.
  • 다이빙 중 눈을 마주치며 신호를 보낸다.
  • 긴급 상황에서는 신호로 빠르게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안전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미리 대비해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것이 레저 스포츠를 올바르게 즐기는 길입니다.
반응형